Home Postman login
Post
Cancel

Postman login

Postman

FetchType.Lazy로 인한 오류를 해결하면서 응답받는 값을 체크하기 위해 Postman을 사용했다.

그런데 하나 문제가 있었고 이를 기록했다.




로그인 문제

체크해야할 부분은 Comment이기 때문에 “/Comment” GET Method를 테스트를 진행했다.

js에서 registryId(게시글 id)값을 주면 registryId에 해당하는 댓글들을 보여준다.

그런데 postman에 http://localhost:8080/comment?idx=1을 send하면 html만 떴다.



바로 “로그인” 문제였다.

해당 페이지는 로그인을 해야 해당 페이지로 들어갈 수 있다.

이 문제는 stackoverflow에 있는 글을 보고 해결할 수 있었다.




쿠키 설정하기

image

localhost에 쿠키 JSESSIONID 가 기본으로 세팅되어 있어서 value 값만 변경해줬다.



image


cookie에 저장된 JSESSIONID의 value를 복사해서 아래에 붙여넣기 했다.


image




쿠키 추가하기

페이지 내에서 nickname을 확인하기 위해 Session Storage에 넣어 진행했기 때문에 Session Storage에 저장한 nickname도 추가했다.


image


추가는 addCookie 눌러준후에 저장하는 방식 그대로 nickname=haedal blog;로 설정했다.


image

image




해당 부분을 실행할 때는 로직을 수정할 때마다 프로그램 실행해서

브라우저 켜고 로그인 후에 Cookies에서 JSESSIONID의 value를 복사해서 Postman에 설정된 JSESSIONID의 value를 수정했다.

그런데 그냥 Postman에 로그인 API를 실행한 후 위 처럼 로그인을 해야 실행되는 페이지를 테스트 하면 된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