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Dal Blog
Cancel

싱글톤, static, final

싱글톤 생성 과정을 정리하면서 final과 static에 대해서 정리해봤다. Singleton 생성 과정 예제로 든 싱글톤은 Thread Safe 하지는 않다. 1. final로 써서 초기화 시켜주는 방법 자기 자신을 private static final으로 선언 public으로 getInstance를 선언해서 이 메소드를 통해서만...

데이터베이스 연동

DB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책으로 스터디 진행 관련 글 :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 객체 관계 매핑 객체지향 언어에서 의미하는 객체(클래스)와 RDB(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 Relational Database)의 테이블을 자동으로 매...

다양한 방법으로 api 작성하기

다양한 방법으로 API 작성하기 HTTP Code 2xx : 통신 성공 성공적으로 요청이 처리되었음을 의미. 200 [OK] : 요청 성공(GET) 201 [Created] : 생성 성공(POST) 204 [No Contents] : 요청 성공, 반환할 데이터 없음 3xx : 리다이렉트 301 [Moved Permanently]...

기초 지식

서버 간 통신 스프링 부트의 동작 방식 용어 Servlet [서블릿]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결과를 반환하는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 Servlet Container [서블릿 컨테이너] : 서블릿 인스턴스를 생성, 관리. 스프링 부트의 경우 톰캣이 WAS의 역할과 서블릿 컨테이너의 역할...

Spring boot

Spring Boot? Spring Framework IoC (Inversion of Control) : 제어 역전 사용할 객체를 직접 생성하지 않고 객체의 생명주기 관리를 외부에 위임 외부란? 스프링 컨테이너 또는 IoC 컨테이너. IoC를 통해 DI (Dependency Injection) : 의존성 주입, ...

Tdd 정리(service, repository)

Service Mockito.when(boardRepository.save(new Board("3","title","main","writer"))) .thenReturn(new Board("3","title","main","writer")); 객체를 새로 생성을 여러번 함으로써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므로 ...

Tdd 정리(controller)

Controller 나는 Controller를 이전에 작성한 방법처럼 객체를 return했다. @PostMapping("/registry") public Board saveBoard(@RequestBody BoardDto boardDto){ return boardService.saveBoard(boardDto); } 그런데 내가 tdd를...

Tdd 과정

TDD test코드를 먼저 작성 후에 빨간 줄이 뜨는 메소드를 실행 전에 실제 코드에 작성해주면 되는 형식이 tdd 관련 글 : TDD란? annotation tdd를 작성하면서 새로 알게 된 부분들은 설명이 있고 원래 알고 있는 어노테이션은 간략하게 적었다. test ■ @SpringBootTest : 통합 테스트를 제공하는 기본적인 어...

Enum 기초

이 전에는 열거형 상수를 선언하려면 클래스 내에 final static로 변수 선언 interface에 상수 선언 을 했어야 했다. → 한 클래스에 final static으로 선언하면 네임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고 복잡하다. →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위 문제는 해결되나 타입 안정성이 떨어진다. ...

Handler

handler 관련 글 : enum 기존 enum 값에서 변경을 할 때 처음에 작성을 변경 값만 작성했다. @Getter @AllArgsConstructor public enum Answer{ Y("정답"), N("오답"); private final String name; } “A”에서 “정답”으로 변경하는 것이니깐 둘다 적어줘...